법흥왕부터 진덕여왕으로 이어지는 6세기 신라는 국호를 정하고 마립간을 왕으로 개칭하였으며, 율령을 반포하고 불교를 공인했다. 대외적으로는 국토를 확장하여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는데 이러한 신라의 모습을 곳곳에 남겨진 문자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6세기 신라를 보는 열쇠 - 문자"라는 제목으로 6세기 신라인이 남겨둔 다양한 문자를 전시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금속유물에 새겨진 신라문자, 나무조각에 기록한 문자를 비롯하여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임신서기석, 남산 신성비 등의 모습도 구경할 수 있다.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6세기 들어선 신라는 지배체계 정비를 통해 국력을 크게 일으켰다. 이 힘은 신라의 영토를 확장하는데 중요한 발판이 되어 6세기 중반에 한강 유역을 차지하게 되었는데, 진흥왕은 새롭게 넓혀진 영토에 진흥왕 순수비들을 남겼고, 그 중 하나가 중앙박물관에 전시된 것이다.
임신서기석... '임신년에 맹세한 바를 기록한 돌'이라는 뜻으로 비석에는 화랑으로 보이는 두 청년이 나라에 대한 충성과 학문을 향한 목표를 맹세하고 있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비석에는 신라와 지배체제와 원칙이 지방에서 적용되던 모습이나 국왕의 순수나 군사목적의 행차모습이 담겨 있다. 또한, 저수지나 성을 만들 때 지방이 노동력을 불러 사용한 모습을 담고 있는 비석도 많이 발견 되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인 비석이 남산에 새로운 성을 쌓는 과정을 기록한 '남산 신성비'이다.
'목간'은 신라사람들의 문자 생활을 복원할 수 있는 주용한 유물 가운데 하나로, 여기에는 신라 곳곳의 지역명, 관등, 신분, 인명 등이 기록되어 있어 신라의 지방 행정을 살펴보는 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목간'은 수도 왕경과 지방 곳곳에서 출토되고 있는데, 행정 문서용, 장부영, 물품꼬리표, 세금 물품용, 정리용, 학습용, 주술용 등 그 형태나 쓰임도 매우 다양하다. '목간'은 종이에 비해 무섭고. 기록이 가능한 정보의 양도 적지만 종이보다 물에 잘 견디고 내구성이 강하여 보관, 사용하기가 편리하고 재활용도 가능하다. 즉, 나무로 만들어서 얇게 벗겨내면 몇 번이고 다시 쓸 수 있었던 것이다.
때로는 그릇에 끌씨를 남겨두기도 했다.
"6세기 신라를 보는 열쇠 - 문자"는 6세기 신라시대를 이해하는데 참 좋은 전시이다. 청소년들과 아이들에게 보여준다면 책을 몇 번 읽는것 보다 더욱 좋은 교육적인 효과가 있을것이다. 이번 전시는 박물관 1층의 고고관 신라실에서 6월 20일까지 만나볼 수 있으며, 안내기자 입구에 비치되어 있으니 챙겨서 구경해 보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