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는 SK텔레콤 전용으로 TG앤컴퍼니의 스마트폰 루나(LUNA) 출시를 발표 했다. TG앤컴퍼니는 N스크린 디바이스, 빅디스플레이 등을 생산하는 국내 제조업체인데, 루나는 이 회사가 직접 만든 것은 아니고 애플의 하청업체로 유명한 대만의 폭스콘이 만든제품을 OEM 방식으로 유통만 시켰다고 보는 것이 맞다. 폭스콘은 얼마전부터 대기업들의 하청을 받아서 제품을 생산하는 단계를 넘어서 자신들의 브랜드로 제품을 출시하기 시작했고, 그 중에 하나를 SKT가 TG앤컴퍼니를 통해서 유통시키는 것이다.
SKT는 루나(LUNA)에 대해서 지금껏 본 적 없던 새로움이라고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루나는 약 한달전에 폭스콘이 인도와 중국시장을 겨냥해서 자체생산한 스마트폰 Infocus M812에 기반을 두고 있다. 어떻게 보면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제품에 새로운 브랜딩을 입혀서 중저가형 대만 스마트폰을 들여오는 시도 자체는 굉장히 새롭다고 말할 수도 있다. 과거 일부 업체에서 OEM방식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들여온 적이 있긴 하지만 이동통신사와 같은 대기업에서 나서서 국내로 도입한 적은 없었다. 그래서 완전한 새로운 스마트폰이 아니라서 다소 아쉽긴 하지만 최근에 출시된 대만산 중저가형 스마트폰을 들여온다는 점에서는 박수를 보낼만 하다. 그런데 한 가지 걸리는 것은 Infocus M812의 경우 인도에서 19,999루피로 원화로 35만6천원정도인데, 루나의 국내 출시가격은 44만 9천원이라는 것이다. 프리미엄폰의 경우 10만원 가량의 가격차이가 크게 느껴지지 않을지 모르지만, 중저가형의 경우 몇 만원 차이도 상당한 갭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다소 부담스러운 가격정책이다.
루나를 보면 얼핏 아이폰이 생각나기도 하고 HTC의 향기가 아주 조금 나는 것 같기도 하고, 외형적으로 뭔가 여기저기서 본듯한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그리고 출시하면서 모델과 함께 내세우는 모습도 이상하게 닮은 느낌이다. 뭐~ 요즘 스마트폰 출시에 항상 여성모델이 등장하기 때문에 그런것일지도 모르겠다.
▲ 폭스콘의 Infocus M812 전면
마음 같아서는 당장 루나의 외형을 들여다보고 싶지만 그럴 형편은 안되고 이미 출시된 Infocus M812를 촬영한 사진을 몇 컷 들고 왔다. 아마도 위에 스마트폰 루나의 모습을 보고 M812를 보면 그냥 똑같은 제품이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세부사양에서 조금 차이가 날지도 모르겠지만, 하드웨어 스펙도 동일하다. AP는 스냅드래곤 801(2.5GHz 쿼드코어), RAM은 3GB, 저장공간은 16GB, 전면카메라는 F1.8 800만화소, 후면카메라는 F2.0 1,300만화소, 배터리는 일체형 2,900mAh를 탑재하고 있다. 여기에 5.5인치 FHD 디스플레이가 완전히 동일하다. 일부 NFC 탑재나 OS버전 등은 상이할 수 있다.
▲ 폭스콘의 Infocus M812 후면
▲ 폭스콘의 Infocus M812 좌우측면
▲ 폭스콘의 Infocus M812 상하단면
보급형 시장을 타겟으로 SKT에서 단독 출시된 루나(LUNA)가 9월 4일 출시전 3일동안 얼마나 많은 예약을 기록할지는 모르겠다. 분명히 전세데이긴 하지만 고급형에 들어가는 스냅드래곤 800시리지를 탑재한 부분이나 상당히 밝은 카메라를 탑재한 부분에서 그 가치를 느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A/S문제 OS업데이트와 같은 사후지원 분야가 어떻게 진행될지 모르기 때문에 위험부담이 따르는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왜 같은 제품에 이름만 다르게 브랜딩했는데, 유독 국내에서만 더 비싸게 판매되야 하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아마도 루나가 외국에서와 비슷한 수준인 30만원대 중후반 가격으로 출시 되었다면 보급형시장 뿐만 아니라 프리미엄 시장의 일부 소비자들까지 끌어들일 수 도 있지 않을까 하는 혼자만의 생각을 해본다. 끝으로 제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스펙을 생각해보면 44만 9천원이라는 가격대가 결코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단지 외국보다 비싸게 판매되고 있다는 부분과 외산폰을 들여오면서 새것처럼 마케팅 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이다.
댓글 영역
나름 합리적인 의견을 개진한 글에 뭔 소린가요 ㅎㅎ
일부 최적화가 좀 이상하다는 의견이 있긴하지만요.
다른 글은 무슨 유심이랑 sd 카드조차 구분 못하면서 개봉기라면서 올려놓고 추천을하고 있고...
확실히 30대랑 40대랑 크게 격차가 느껴지긴하죠.
그래도 예약구매자에겐 5000mah 보조배터리랑 여러 할인 쿠폰이 제공 되면서
다 활용시 4~5만원 정도 혜택이긴 한데 그거 다 챙겨서 쓸 일은 잘 없을테고...
동 스펙 비교 대상 기기에 비해서는 싸긴하니까 충분히 매력적이긴 하네요.
제품자체는 충분히 매력적이다라는데 동의해요 ㅎㅎ
샤오미 홍미노트2를 두대 살 돈인데.
홍미노트가 디자인이나 OS 완성도에서 비교가 안될정도로 뛰어납니다.
30만원이 적정가격.
요금제 가입시 할인 감안해서 비용이 책정되었을 겁니다.
그리고 루나의 경우 폰은 그대로이지만, 매뉴얼, 보장 , A/S 등 비용이 들어가므로
폭스폰이 직접 오픈 마켓에서 파는 것과 비교하면 안됩니다.
그런 식이면 모든 채소나 야채를 이마트나 홈플러스 가격이 아닌 산지 가격으로 비교해야 하니깐요
1. 성능은 아주 쓸만합니다. 주절주절 표현할 필요는 없을테고..... 결국엔 최고의 프리미엄폰을 비싸게 쓰느냐 꽤 괜찮은 가격으로 하고싶은 것 하는데 지장없고 들고다니기에 디자인도 구리진 않은 폰을 선택하느냐의 차이라고 봅니다.
2. 가격 : 인도 2만루피(약 35만원이라던데....그럼 루나 출고가와 10만원 차이정도 나죠?)와 비교해서 상대적인 높은 가격으로 체감할 수는 있습니다만..... 전 약간 다르게 생각하는 바가 있습니다. Global Sale하는 Aliexpress같은데 찾아보셔도 Infocus 810밖에 찾을 수 없더군요 (인도에 출시된 812-루나폰-보다 전모델인데 느낌이 많이 차이납니다. 한화20만원정도에 A/S는 당연히 포기해야죠.) 812도 분명히 중국 내 폭스콘 공장에서 만들고 있을 것 같은데 아직 중국 시장에선 안풀렸다는 반증입니다. 이런데서 사면 A/S는 포기해야죠.
1) 마케팅과 A/S비용, 생활물가 등을 비교했을 때 인도에서 2만루피와 국내에서 29나 35요금제에 보조금 조금 받고 할부원금 35만원 조금 넘는 가격에 요정도 스펙이라면 전 OK라 생각했기에 사 봤습니다.
2) 제 생각엔 SKT가 모바일 캐리어로서 디바이스 회사에 너무 휘둘리다보니....좀 열이 받은 것인지....이번에 루나가지고 매우 공격적으로 한때 포기했던 디바이스 마켓에 재진입을 시도한 것이라고 자평하고 싶습니다.
3. 소비자 관점에서 봐도 국내에서 선택 가능한 LTE 요금제라는 것이 와이파이 찾아 알뜰하게 사용하면서 29요금제나 35요금제정도로 간신히 버티는 저같은 인생이 봐도 디바이스 가격 그놈의 단통법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현실에서 100만원짜리 프리미엄폰과 비교해서 매우 매력적인 제품인 것으로 보이고, 결과적으로 시장에서 소비자의 선택을 넓혀주는 틈새 공략에 성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보기에 SKT는 이번에 목표를 달성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