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또 다른 충무공 영정이 있는 해남 '충무사'

Travel Story./전라남도,광주

by 멀티라이프 2009. 9. 17. 17:01

본문

 흔히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이야기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장소중의 한 곳이 아산에 위치한 현충사이다. 대표적인 충무공 이순신의 유적지로 충무공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사당으로 70년대 성역화 사업으로 만든 한국식 사당이다. 특히 충무공께서 머물던 고택 옆 언덕에 자리잡고 있어 충무공 유적지로써 더욱 유명해 졌는지도 모르는 곳이다. 사실 충무공 이순신의 영정하면 항상 아산의 현충사 만은 생각하곤 했었다. 그러던 중 떠나게된 명량대첩축제 사전홍보 팸투어에서 해남에 위치한 충무사를 찾게 되었다.
 
 들어가는 입구가 고가도로의 아래쪽에 잡고 있어서 길을가다가도 지나치기 딱 좋은 장소로 보이는 해남의 충무사는 제법 잘 가꾸어져 있었서 이런곳에 충무공 이순신의 충성심과 구국정신을 기리기 위한 사당도 있구나 하고 생각하면 다소 놀라고 있었다. 그런데 더 놀라운 사실은 이 사당이 1964년에 건립했다는 것이다. 이 사당의 건립시기를 보는순간 손발이 오그라들정도의 부끄러움에 내 얼굴은 화끈거리고 있음을 느꼈다. 거기다가 명량대첩비까지 함께 자리하고 있었으니 한국전쟁사를 비롯 해서 관련 수업을 수 없이 들었단 나로썬...

- 충 무 사 -
충무공 이순신의 충성심과 구국정신을 추모하기 위해 1964년 건립한 사당으로 명량대첩 비와 충무공 영정을 봉안하고 있다. 충무사에 세워진 명량대첩비는 조선 숙종 때 충무공이 정유년(1597) 9월 16일 우수영 울돌목에서 거둔 명량대첩을 기록한 것인데 비문은 숙종 때 대학자 예조판서 이민서가 짓고 당대의 명필 판돈령부사 이정영이, 흥무관 대제학 김만중이 전자로 써서 숙종 14년 3월에 문내면 동외리에 건립했다. 그런데 2차대전을 유발한 일본의 조선총독부가 왜란당시 크게 패한 기록이 담긴 그 비를 가만둘리 만무했다. 1942년 전남 경찰부에 비를 뜯어서 서울로 올리라는 명령을 내리자 일본인 경찰들이 인부들과 목수, 학생들까지 강제 동원하여 높이 2.67m, 폭 1.14m나 되는 거대한 비석을 500m 떨어진 우수영 선착장으로 옮겼으며 비각을 흔적도 없이 헐고 말았다. 이 일로 인부가 죽고 목수 두 사람이 원인 모를 병으로 죽자 조선총독부는 한때 대첩비를 아예 없애버릴 계획을 세웠으나 불길한 일들이 발생하자 감히 실행을 못하고 경북궁 근정전 뒷들에 파묻어 버렸다. 1945년 해방이 되자 우수영 유지들은 대첩비를 찾기위한 '충무공 유적 복구 기성회'를 조직하고 경찰부와 총독부에 수소문한 끝에 파묻혀 있는 대첩비를 발견하게 되었다. 그러나 거대한 대첩비를 우수영으로 옮길것이 막연했다. 이들은 미군정청에 면담을 요청하여 협조를 구해 미군 트럭에 실어 서울역으로 옮겨 목포까지 열차로, 목포에서 다시 배를 이용하여 우수영 선창으로 되돌아 오게 되었다. 그러나 비를 세울 장소가 없어져 버렸기 때문에 제각을 짓기위한 모금운동에 들어갔으나 턱없이 부족한 기금 때문에 풍물패를 조직, 나주 무안 등 8개군을 돌기도 했고 대첩비를 수백장 탁본하여 여러 시와 학교 관공서를 돌아다니며 팔기도 했다. 드디어 1950년 비각이 완공되어 비를 세울 수 있었다. 이렇게 해서 지금은 학동으로 자리를 옮긴 명량대첩비는 최근 두차례의 믿지 못할 영험이 나타났다. 국가의 대난이 예상될 때면 땀 흘리듯 검을 물이 흘러나와 나라의 장래를 근심한 충무공의 충절이 살아난 것이라고 한다. 1950년 6ㆍ25사변과 1980년 5ㆍ18민중항쟁 때 이 비는 두 번 우국의 눈물을 흘린 것이다.
자료 출처 : 여행 블러거 기자단 청솔객님의 글


충무사로 들어가는 계단을 잘 되어 있으나 입구쪽을 보시면 고가도로 아래쪽임을 어렴풋이 볼 수 있다. 어쩌면 모르고 살았던 것이 당연한(?) 것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충무사로 올라가는 길의 오른쪽에는 수군만호등의 송덕비를 한곳에 모아두었다.


이곳이 분명히 충무사임을 알리는 현판...


 충무사의 정면과 들어가는 문의 모습이다. 열심히 충무사의 모습을 담고 있는 우리 여행블러거 기자단 본들의 모습도 보인다.


 난 태극기를 바라보면 그냥 기분이 좋다. 그리고 푸른하늘아래 펄럭이는 모습을 보면 왠지 나로 모르게 가숨이 뭉클해진다. 그래서 어디를 가더라도 태극기가 보이면 사진을 찍곤한다. 나도 모르게...




 충무공 이순신의 영정을 모신 사당 앞쪽에 자리잡고 있는 명량대첩비를 보호하고 있는 누각과 명량대첩비 그리고 단청의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단청에는 왜적을 물리치는 거북선의 모습, 강강술레, 십장생 등 다양한 모습을 그려놓고 있었다.


그리고 내 손발을 오그라들정도로 부끄럽게 만들었던 충무공 이순신의 또 다른 영정... 아니 이곳이 먼저 지어졌으니 이곳이 원조라고 해야할까...

관련글 더보기